본문 바로가기

'민주화 진척 기대 이하’, ‘국정운영 미숙' 활동가 359명 참여정부 평가 설문조사 평가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노무현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관계에 대한 창간특집 설문조사에 이어 은 두 번째 설문조사로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실시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와 함께 지난 2일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359명을 대상으로 노무현 정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은 향후에도 보다 세밀한 노무현 정부 평가 여론분석을 이어간다. /편집자 부정적 50.4%, 긍정도 42.1% □ 한미FTA 평가 노무현 정부가 집권 후반기 정권의 명운을 걸고 추진한 한미FTA 타결에 대해 물었다. 전반적으로 ‘부정적 견해’는 50.4%, ‘긍정적 견해’는 42.1%였다. 부정적 견해 중 ‘매우 부정’이 33.1%에.. 더보기
“저희에겐 꿈이 있습니다” 창간기념식 이모저모 ○‥ 창간기념식에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물론, 정계, 관계, 재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 인사들이 참석해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을 가득 메웠다. 200여석의 좌석을 모두 채워 자리에 앉지 못한 참석자들이 많았다. 멀리 경북 영주에서부터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찾아온 시민운동가도 있었다. 주요 참석자들로는 정계에서 김원웅, 홍미영, 이은영, 이인영, 유인태, 최재천 의원, 이부영 전 의원, 김성진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이부영 서울시교육위원 등이, 학계에서는 정대화 상지대, 권항기 공주대, 양성호 건국대, 김운호 경희대, 김민웅 성공회대 교수 등이, 관계에서는 이종서 교육부 차관, 정성진 국가청렴위 위원장, 김인재 국가인권위 인권정책본부장,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총리실 민정.. 더보기
아시아 경기대회 단상 책으로 보는 눈 [1] 2014년 아시아 경기 대회를 인천에서 하기로 했답니다. 이리하여 인천시가 거두어들이는 ‘돈 이익’이 십 몇 조라는 기사가 뜹니다. 인천사람들은 너나없이 반기고, 강원도 평창사람들은 너나없이 싫어한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인천에는 세계대회를 치를 만한 운동장이 몇 군데 없기 때문에, 2014년까지 수많은 경기장을 새로 지어야 합니다. 경기장 하나를 지을 때마다 수천 억 원이 들 텐데, 수천 억을 들여 수조 원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돈 남는 장사’라고 생각할 테지요. 더구나 이런 공사감을 자꾸자꾸 만들어야 ‘사람들 일자리’도 늘어날 테고, ‘실업률이 떨어진다’고 내세우겠지요. 여러 나라 운동선수가 머물 선수촌(아파트)을 짓는다며 인천 건설업계는 눈이 반짝반짝 빛날 테고, 선수.. 더보기
시민단체 옥석 가릴 정론지이어라 김성훈 본지고문 연대사에서 강조 바쁘신 일정에도 불구하고 참석해주신 정계, 재계, 관계, 시민사회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시민의신문이 불행한 사태로 수개월간 발행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시민사회 인사들이 이 중대한 전환기에 시국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한다면 자칫 시민단체와 시민운동이 쌓아올린 금자탑이 무너질 뿐 아니라 뿔뿔이 흩어져 목소리를 모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높아졌습니다. 시민사회정론지는 무릇 한국사회, 특히 시민사회의 성숙을 견인해가야 할 임무가 있습니다. 이를 이어갈 새로운 매체는 그래서 더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더 업그레이드 된 시민사회 정론지 말입니다. 저는 현 시국이 너무 엄중해서 시민사회정론지의 맥이 끊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생각해 흔쾌.. 더보기
여성 비정규직 대책 촉구 여성연합 "공공부문… 토론회" 정부가 이달 말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중 무기근로 전환 및 외주화 대상을 선정할 예정인 가운데 ‘공공부문 비정규 대책, 과연 여성에게 평등한가’란 주제로 여성연합이 오는 8일 토론회를 연다. 현재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인 상황에서 정부 발표로 비정규 여성노동자들이 어떤 영향을 받을지에 대한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하지 않음에 따른 것이다. 김기선미 여성연합 정책국장은 “통상적으로 주변업무 종사자들은 여성 노동자들이다”며 “핵심업무와 주변업무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불명확한 상황에서 외주화 대상을 선정하게 되면 여성 노동자들의 상황은 더욱 열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부문의 효율성은 ‘최소 비율, 최대 효과’를 강조하는 시장논리로 평가돼선 안 된다는 논의도 토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