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난’ 대선시기 평화공약 ‘표심잡기’
서민대중의 안정 살피는 근본모색 필요
요즘 대선 예비주자들이 갑자기 평화 타령을 하는 바람에 ‘평화가 바람났다’. 평화운동가의 입장에서 볼 때 ‘평화’가 인구에 회자되는 것은 좋지만 반(反)평화적인 집단(한나라 당 등)이 ‘반전·반핵·평화’를 내세우며 표심을 자극하는 데 역겨움을 느낀다.
‘평화’는 대선 예비주자들이 표를 구걸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일회용 반창고가 아니다. 이들이 평화를 일회용 반창고처럼 사용하는 바람에 각 주자들의 평화론 사이에 변별력이 사라져가고 있다. 진보적인 주자가 말하는 ‘평화의 진정성’과 보수적인 주자가 말하는 ‘평화의 사이비성’이 얼마나 큰 차이를 지니는지에 대하여 예리하게 구분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런데 평화의 진정성이 엿보이는 인사들도 평화의 지평을 주로 한반도에 국한하여 ‘기존 통일론의 신선한 대용물’로 삼는 경우가 많아 식상하다. 거의 모든 예비주자들의 평화를 보는 시야가 매우 좁을 뿐 아니라 평화의 사상이 결여되어 있어 이들의 평화론이 사상누각임이 드러나곤 한다. 이론적인 바탕 없이 평화를 단지 전쟁이 없는 상태로 규정하는 ‘소극적인 해석’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구조적인 폭력, 억압, 소외, 신자유주의·한미 FTA 우산 아래에서 신음하는 민중들의 한을 아우르는 적극적인 평화’를 주창하는 대선 예비주자가 한 명도 없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신자유주의의 질곡에 빠진 한국 사회의 양극화 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민초들의 비평화’(peacelessness)를 애써 강조하는 예비주자가 전무하다. 이들은 한결같이 평화를 기존 통일론의 대체물 정도로 보기 때문에 평화를 한반도라는 우물 안에 우겨넣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방치한다면 올해 대선에서 모처럼 찾아온 평화담론의 상승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다.
![]() |
김상택 기자 |
파병반대국민행동은 12일 서울 광화문 정보통신부 앞에서 자이툰 파병연장 및 레바논 파병반대 집회를 열었다. |
대선 예비주자들의 허울 좋은 평화 이야기가 변별력이 없는 정치적 구호로 전락할지 모르는 상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의 판에 박힌 평화담론이 좁은 틀 속에서 박제화될 경우 평화운동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지 모른다.
이와 같은 우려가 기우가 되길 바라는 필자는 이번 대선에 통용시킬 평화 담론의 상징적인 언어를 ‘잘 사는 평화’로 집약하고자 한다. 잘 사는 평화론을 통하여 예비주자들의 비좁은 평화론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려고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평화마저 정치적인 치장물로 삼는 대선 주자들의 ‘평화론 물타기’ 행각을 예방하고자한다.
플라톤(Platon)의 저서‘크리톤’의 대화 중에 소크라테스가 “우리는 그저 사는 것을 가장 소중히 여길 것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을 가장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구절이 있다. 이어 “‘잘’이란 ‘아름답게’라든가 ‘올바르게’라든가와 같다”라는 말이 나온다. 즉 ‘잘 산다’의 ‘잘’을 ‘아름답게’, ‘올바르게’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잘’이란 결국 ‘올바르게’요 ‘잘 산다’는 것은 ‘올바르게 사는’ 것이라 요약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잘 산다’는 것은 돈이나 신체나 세상의 평판이나 지위에 머리를 쓰지 않고 무엇보다도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자기의 영혼 즉, 정신을 가장 좋은 것, 가장 훌륭한 것이 되게 하면서 사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최명관 ‘잘 산다는 것의 의미’ 숭전대학교 논문 제3집, 1971, 40~43쪽)
소크라테스(Socrates)가 말하듯이 ‘잘 사는’ 것은 ‘올바르게 사는’ 것 즉, 정의롭게 사는 것(의로운 삶)이요, 자신의 영혼(이성)을 가장 훌륭한 것이 되도록 정화하는 일이다. 정의롭게 살면서 이성을 정화하는 일은 평화로운 삶을 예약한다. ‘잘 사는 평화’를 예약한다. 개인만 ‘잘 사는 평화’를 누리지 않고 사회 공동체와 더불어 ‘잘 사는 것’이 될 때 사회의 평화가 이룩될 것이다.
‘아랫 것들’ 잘사는 평화를
자립(Subsistence)은 ‘자연 생태계의 속에서 인간사회를 유지하고 재생산해가는 틀, 개인과 집단의 본래성을 발현시켜 영속시키는 조건의 총체’이다.
전 세계의 대안경제·대안화폐·공동체 경제·지역자립경제 모델에서 자립의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 간디·마르크스·아담 스미스·이반 일리치·폴라니(Polanyi)의 세계관에서 자립의 이론적인 측면을 탐구할 수 있다. 자립 지향의 정치경제학, 순환 경제학, 지역자립 경제학, 지속가능한 경제학에로의 ‘인식 틀(paradigm) 전환’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중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평화(지향의) 경제학’을 통하여 공생사회, 지역자립의 사회체제를 조성해야한다. 자립에 의한 평화의 틀’을 새로이 형성해야한다.
양극화의 하층에 속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실업자·도시빈민·한미FTA의 희생양인 농민은 소위 ‘아랫 것들’(Subaltern)에 해당된다. 한국 사회의 양극화 현상은 ‘아랫 것들의 고난·구조적 폭력이 지양된 평등사회’를 요망한다. 양극화의 해소 즉 ‘Subaltern’을 줄이는 것이 ‘잘사는 평화’의 경제적 덕목이다. <다음호에 계속>
대동사회를 찾는 오래된 희망 |
연대와 각성의 공생사회 모색 |
김승국 평화운동가
제12호 7면 2007년 7월 16일자
'사람人 >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현 정부의 분열적 평화관 (0) | 2007.07.16 |
---|---|
교육 기름지게 할 '지렁이' 필요 (0) | 2007.07.16 |
비정규직 울리는 비정규 ‘보호’법 (0) | 2007.07.09 |
여름 공포영화-의료급여제도 개악 (0) | 2007.07.09 |
경인-경부운하 만남, 토건족들의 불륜 (0) | 200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