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욱 참여연대 정책사업단장
민생고통 해결 위한 ‘교육 주거 의료’비용 개선 활동 “지금까지 참여연대의 운동역사가 권력 감시 10년이라면 향후 10년은 사회경제 개혁 운동 10년이 될 것이다” 참여연대가 3대 가계 부담 줄이기 운동을 시작했다. 정치개혁 운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민생분야에 더욱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 단장을 만나 3대 가계 부담 줄이기 운동에 대해 들었다. “2년 전부터 참여연대 10년 평가를 하면서 이젠 개인생활의 문제, 즉 실질적 사회경제 민주주의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게 됐다. 정치적 민주주의를 향상시켰지만 그 내용이 어떠한가를 놓고 봤을 때 국민생활과 직결되지 못했다.” 사회경제 민주주의를 화두로 던지면서 올해부터 참여연대의 사회복지위원회, 시민경제위원회, 민생희망본부, 조세개혁센터 등 5개 활동기구를 묶은 경제사회협의회가 본격 가동됐다. 1차 목표는 가계의 재정건전성 확보다. “고정 지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계의 입장에서 볼 때 현재의 상황은 소득을 수탈당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젠 성장만 가지고 국민생활 향상을 바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 단장은 참여정부 들어 기업들이 요구대로 각종 규제들은 풀리고 있지만, 국민의 생활은 나아지지 않고 도리어 사적인 부담만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 운동의 배경이라고 설명한다. “1인당 GDP 성장률이 연간 10%가 넘으면서 외형적 성장은 했지만 중산층과 서민들이 기본적인 욕구에 지출하고 나면 쓸 돈이 없다.” IMF 이전에 16%이던 전체 소득 가운데 국민저축률은 3.5%로 급락했다. 하지만 기업을 포함한 저축률은 33%에 이른다. 국민은 쓸 돈이 없는 반면 기업들은 내부 축적으로 돈을 쌓아 놓지만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한국사회의 씁쓸한 현실이라고 지적한다. 이 단장은 더 이상 ‘기업하기 좋은 나라’란 미명으로 기본적인 교육, 의료, 주거의 공공성이 훼손되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냐, 국민이 살기 좋은 나라냐 하는 담론에 대한 국민적 선택과 합의가 필요한 시기다.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훨씬 기업하기 좋은 여건은 갖추고 있음에도 계속 기업하기 어렵다는 말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경제범죄 처벌은 온정적이다. 징벌적 손해배상, 집단 소송제와 같은 국민의 감시 장치도 제대로 도입되어 있지 않다” 이 단장은 또 정부가 각종 통계를 왜곡해 국민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통계는 주거비를 3%로 제시하고 있는데 관리비, 수리비 등 순수 관리 비용 만을 가계지출로 잡고 산출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주택 마련을 위한 저축 등의 지출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로 실제 국민들이 체감하는 주거비 부담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사교육비에 대한 통계에서도 차이는 심각하다. 국책연구소인 한국교육연구원에서는 연간 사교육비를 13조로 추산하고 있는데,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4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내 사교육 시장의 규모는 33조 5천억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비의 경우에도 정부가 건강보험이 부담하는 비용 나타내는 보장성을 70%까지 올리기로 했지만 실제 국민들이 높은 의료비 부담으로 체감하는 종합병원 진료의 본인부담률은 여전히 50%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 단장에게 가계부담 줄이기 방안에 대해 물었다. 참여연대가 제시한 향후 계획에는 등록금 상한제 설정,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 재정지출이 따르는 내용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등록금 상한제 등 각 대학에 규제를 가하기 위해선 정부가 대학교부금을 상당 부분 확대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김 단장에게 물었다. “지금 대학들이 과도한 적립금을 쌓아두고 있다. 등록금을 가지고 건물을 짓고 고액 등록금을 거둬서 다른 용도로 쓰는 실정이다. 감시시스템을 가지게 하자는 것이다”며 “합리적인 규제장치 마련에는 많은 세금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고 말한다. “장기적으로는 공적 부담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답했다.
| |
심재훈 기자
제9호 17면 2007년 6월 25일자
|
사업자 정보 표시
시민사회신문 | 설동본 | (121-865) 서울 마포구 연남동 240-6 50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5-20-38740 | TEL : 02-3143-4161 | Mail : ingopress@ingopress.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서울아0263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News > 시민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정서명·재협상분리논란 (0) | 2007.06.25 |
---|---|
한국형 '엑슨-플로리어법' 제정하자 (0) | 2007.06.25 |
민노 대선주자들, 1가구1주택 동참 (0) | 2007.06.25 |
“이건희 회장 소환조사를” (0) | 2007.06.25 |
이건희 회장 천상의 존재? (0) | 2007.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