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참여.. 정책제안.. 유권자운동 미래구상, 시국선언 정치세력화 모색 | |||||||||
2007년 대통령 선거에 대한 시민사회의 대응이 가시화되고 있다. 정당 창당까지 염두 해 둔 직접정치참여 세력과 유권자 참여운동을 추진하는 축으로 대별된다. 구별짓기를 시도하지만 상호 공감의 영역이 교차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15일에는 시민운동세력이 주축이 돼 지난 1월 결성된 ‘창조한국미래구상’과 민주화운동진영 중심으로 3월 발기인대회를 가진 ‘통합과번영을위한국민운동’이 ‘통합과번영을위한미래구상’이란 이름으로 통합 창립식을 가졌다. 이들은 다가오는 12월 대선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민주평화진보세력을 규합해 ‘국민경선’을 통한 단일후보를 만드는 운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신당 창당이 필요하다면 적극 참여하지만 신당과는 별개로 상호연대와 지지만을 밝히는 독자조직으로 남겠다고 천명했다.
미래구상의 이같은 움직임은 그동안 시민사회적 가치 지향의 총선·지방선거 대응 정치세력화와 궤를 달리하는 본격적인 정치참여선언이란 점에서 기존 시민사회세력의 대선 대응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부 역량 논란과 기성 정치권과의 연계 여부 등 기대와 우려의 시선을 함께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00년 총선연대부터 지난해 지방선거연대까지 주요 선거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의 공동대응을 주도해온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6일 정치세력과 논의와는 별도로 대선 대응 시민단체 공동행동 구상 간담회를 열었다. 연대회의는 앞서 5차례 걸친 정책기획위의 관련 논의를 거쳤다. 연대회의는 이날 간담회 이후 7월 시민운동가대회 전까지 다양한 논의구조를 통해 공동대응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일단 이전 대선시기 벌였던 정책 제안·평가 활동과 달리 유권자 참여운동의 형태를 갖출 예정이다.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시민사회단체만의 ‘자족’을 넘는 보다 대중적인 세부안이 나올 전망이다.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시민사회의 분위기가 미래구상을 부정하거나 반대하진 않는 것 같지만 시민단체와 함께 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 |||||||||
이재환 기자
제4호 1면 2007년 5월 21일자
|
'News > 시민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무역은 진화한다 (0) | 2007.05.21 |
---|---|
원칙없는 한미FTA 혼란만 가중 (0) | 2007.05.21 |
동시다발 FTA 공공성 파괴 (0) | 2007.05.14 |
"은행은 군대보다 무서운 무기다" (0) | 2007.05.14 |
의료법개정 쥐락펴락 재경부 (0) | 200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