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시민경제

"주거 공간을 재테크로 보는 게 문제"

김남근 1가구1주택 국민운동 정책위원

1가구1주택 국민운동에서 참여연대 쪽 정책위원을 맡고 있는 김남근 변호사를 만나 국민운동의 정책 방향을 들었다.

-정책제안 뿐 아니라 1가구1주택 협약을 통한 의식개혁도 주장하고 있는데.

△부동산 가격의 폭등과 서민들의 주거불안정 문제 장기화가 배경이다. 집이 거주의 공간이 아니라 투기·재테크로 여기는 저변의 심리의식이 자리 잡은 것 아닌가.

장기간 부동산 폭등현상 속에서 부동산으로 재산 증식을 하지 않으면 뒤쳐지는 상황이 상대적으로 투기 대열에 동참하지 못한 서민들에게 피해 의식을 주고 있다. 주택은 주거공간이라는 상식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소유보다 주거가 중요하다면 공공임대주택을 대폭 늘릴 수도 있지 않나.

△국내에서도 전체주택 가운데 25%~30%가 공공주택인 유럽식 사회주택으로 가자는 논의가 많은데 우리의 공공임대주택이 3.5%인 상황에서 실현되기 어렵다. 내 집 마련이 가능한 소득 수준의 서민들에게 공공택지를 싼 값에 공급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3가구 이상 주택소유 금지 실현 가능성 없어

-1가구1주택이란 목표를 달성하는데 소유제한이 가장 빠른 방안 아닌가.

△소유제한 사회적 합의를 얻어 입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100% 위헌이다. 민노당이 추진하는 3가구 이상 주택소유를 금지하는 내용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 무주택자에게 내 집 마련을 수월하게 하고 장기적으로 공공주택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정책입법화 자료에는 제시된 조세제도나 금융제도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크게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

△무주택자들을 위한 임대차보호법 개정이나 공공택지의 공영개발 특별법 등은 현재 부동산 대책보다 많이 나간 부분이다. 그리고 다양한 정책수단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경실련은 원가공개 · 후분양만을, 토지정의는 보유세 강화만 강조하는 데 특정 분야를 해결한다고 전체 문제가 풀리는 것은 아니다.

종부세 논란에서 알 수 있듯 수위가 높은 정책 한가지로 부동산에 접근했을 때 사회적 합의가 어렵다. 정부의 종합적인 정책 접근이 어느 정도 부동산시장을 안정기조로 돌아서게 한 것처럼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다방면의 의식, 제도를 강화하고 하나로 갈 수 있게 한발씩 전진해야 한다.

-다세대 주택보유를 막을 강한 정책 수단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1가구1주택 운동이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으로 비춰져 개발을 부추길거란 우려가 있는데.

△또 다른 개발주의 아니냐는 질문은 말이 안 된다. 집 갖기 운동이 아니고 집을 많이 가지지 말자는 운동인데 이름이 가진 어감에 대한 고민이 있다. 앞으로 무주택자에 대한 지원강화방안과 이미 계획된 신도시에 한해 공영개발제 전면 도입을 추진할 것이다.

심재훈 기자

 

제1호 2면 2007년 4월 30일자

 

사업자 정보 표시
시민사회신문 | 설동본 | (121-865) 서울 마포구 연남동 240-6 50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5-20-38740 | TEL : 02-3143-4161 | Mail : ingopress@ingopress.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서울아0263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