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소자 인문학 교육을 진행한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을 만나 향후 계획을 들었다.
▲인문학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미결수를 제외한 3만여 명의 재소자 가운데 인문학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선 대학의 접근이 필요하다. 전국의 교정시설은 47곳에 불과하다. 한 대학에서 교정시설을 맡아서 인문학과 기술 교육을 통해 지식을 확산시킨다면 노숙인 대상의 성 프란시스 대학처럼 학기제로 틀을 갖춘 프로그램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를 맡고, 전북대에서 전주교도소의 인문학 강좌를 맡는 식으로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아직 인문학 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다.
-6조원 예산을 경찰이 쓰는데도 사회에서 범죄는 크게 줄지 않는다. 인문학 교육이 재소자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자리 잡는데 순기능을 한다면, 범죄재발을 막아 사회를 안정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지난 2004년 검거된 유영철도 전과 14범이었다. 지금까지 교정교육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사전에 관심을 가지고 그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왔다면 끔직한 범죄를 막을 수도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생업을 종사하는 시민들에게도 교정시설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한 나라의 척도는 감옥이다’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말처럼 국가의 교정시설은 그 나라의 인권의식과 사회적 권리 보장을 보여주는 척도다. 교정시설에서 인문학교육은 재소자들에게 단순한 직업훈련보다 다양한 지혜와 가치관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강단의 인문학자들에게 프로그램의 참여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데.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는 한국 인문학자들의 문제로 불거진 위기다. 생산을 담당하는 주체의 문제인 것이다. 지금까지 인문학자들은 인간에 대한 진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있었는지 자문해야 한다.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은 교수들이 사회참여 및 소통의 기회를 갖는 것이어서 지식인의 사회참여의 새로운 역할 모델이다. 또한 인문학 지식으로 사회를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