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전천후 진화의 증언
모기는 이제 사계절 해충이 되었다. 그들은 사계절 전천후로 살아남는 진화에 성공했다. 성공적으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자연선택을 이루었다. 장구한 시간의 진화과정을 생각한다면 대단한 능력을 발휘한 것이다.
더구나 그들은 적응을 위해 생리적 특징도 바꾸었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알을 낳으려면 반드시 흡혈을 통해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흡혈을 위해서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쥐 등 혈액을 다량으로 품고 있는 동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과정 없이도 교미하고 산란할 수 있다. 이 모기의 대부분은 빨간 집모기(Culex pipiens)다. 배설물이 정화돼 유기물이 풍부한 물에 그들은 유충을 낳는다.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는 자연 상태에서 여러 수생생물들의 먹이사슬에 포함되지만 천적이 없는 지하공간에서는 무한정 번식을 할 수 있다. 그들에게 이 공간은 절대번식의 터전이다. 말 그대로 천상천하 유아독존. 모기의 터전은 지하공간뿐만 아니다. 간척지에서도 그들은 왕성한 번식을 자랑한다. 간척을 위해 제방을 쌓으면 염도가 높은 간척지에 민물과 빗물이 섞여 적당한 염도에서 번식하는 모기종인 이나도미집모기와 등줄숲모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증가한 모기는 번식을 위해 흡혈을 시도한다. 흡혈은 간척지 주변의 빨간 피가 흐르는 동물종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시도된다. 이런 이유로 해당 지역에서는 때 아닌 모기의 습격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연의 자정능력은 사라져버린다. 더구나 그들은 화학방제제인 모기약에도 내성을 갖춰 살충제의 독성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들은 인간의 편리와 문명의 배타성을 인큐베이터 삼아 생존하고 있다. 인구밀집의 도심에 이런 모기들이 대규모 전염병을 싣고 인간을 공격한다면 어떻게 될까. 13층이라는 고층공간을 비웃고 거실을 배회하는 모기의 여유가 섬뜩하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 ||
심재봉 시민기자 sjbong21@hanmail.net
|
'News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원확보 없는 수질개선대책은 허구" (0) | 2014.01.21 |
---|---|
‘원전 진흥’ 산업부 규제권까지 가져가나 (0) | 2014.01.19 |
낙동강하구 문화재구역 전면해제 반대 (0) | 2007.10.11 |
"공중참여 시스템이 관건” (0) | 2007.10.11 |
경부운하공약 홍보보다 내용발표부터 (0) | 2007.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