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신문은 1993년 창간 이래 시민사회의 정론지로서 견제와 균형의 언론의 사회적 소임을 반석같이 지켜 오고 있었다. 시민운동의 토양이 척박한 경북사회에서 시민운동에 몸담고 있는 필자에게 시민의신문은 지역 사회운동단체들의 현장을 보여주고 여론화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고 매체였다.
나아가 운동의 방향과 좌표를 설정하는 데에 시민의신문의 심도 있는 특집기사는 모범이 되었으며 다양한 국제면 기사들은 운동의 세계적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이자 학습의 장이기도 하였다.
시민의신문의 독자였던 필자에게 1월 오프라인신문 발행 중단, 4월 24일 온라인 신문 폐쇄는 소통 통로의 한 단절을 느끼게 하는 돌발적 사건이며, 충격과 분노에 몸 떨게 하였다. 독자들에게 신문 발행 중단이나 온라인 사이트 폐쇄에 대한 일련의 경과에 대한 해명이나 사전공지도 하지 않은 채 사이트를 폐쇄하는 일은 이해될 수 없는 사건이며 충격이었다.
그 뒤에 인터넷 시민의신문 사이트의 폐쇄가 우호 지분과 함께 시민의신문의 이사회 결정권을 가진 대주주이자 이전에 성추행 논란을 일으키며 물러난 전 대표이사와 함께하는 인사들로 구성된 새 이사회에 의해 강제로 집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모든 인간의 행위는 그들이 소속된 집단의 무의식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한다.
독자를 우롱한 인터넷 사이트 폐쇄 사건을 통해 이 사회에서 완전히 관련 없어 보이는 다른 영역의 사건들에서 공통의 집단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대기업 회장인 김승연씨의 일련의 행위와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군인 박근혜 씨의 말, 그리고 시민의신문 폐쇄와 관련된 시민의신문 전 대표의 행위에서 이들이 학습한 우리사회 지배 엘리트들의 집단무의식을 읽을 수 있다.
대기업회장인 김승연 씨가 부정을 앞세워 한화기업의 공적라인을 이용해 조폭을 동원하고 그의 개인적 사건 변호에 회사에 고용된 변호사를 이용하거나, 박근혜 씨가 상대 후보군인 이명박 씨에 대해서 한나라당 내 대통령후보 경선 룰을 거론하며 “1천표 줄테니 원래 룰 데로 하자” 는 말에 들어 있는, 투표 결과를 개인이 사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발상과 언론기관을 자신의 개인소유로 생각하고 강제 폐쇄하는 사건은 모두 인간행위에서 사회적이고 공적인 영역과 개인적 영역의 결정을 분별하지 못한 결과이다.
이것이 현 우리사회 지배 엘리트 집단이 그들 스스로가 알지 못하고 있는 무의식이다.
어려운 과정 중에 시민의신문 이후 <시민사회신문>이 시민사회의 정론지로 새롭게 창간되어 그동안 막혀있던 소통의 통로를 연다는 점에서 기쁘다. 결코 쉽지 않은 길을 걷기 위해 뜻을 모은 이들이 자랑스럽다.
그러나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사회의 대변지로 창간된 시민의신문이 1인 지배구조 하에서 언론의 기본사명과 독자들의 기대를 버리고 무참하게 주저앉은 경험을 통해 새롭게 창간된 <시민사회신문>은 몸으로 그 위험을 경험한 것을 되새기며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 각계는 물론 전체 운동진영과의 교감과 연대가 필요하다. <시민사회신문>은 단순히 기자들과 구성원의 것이 아닌 한국 시민사회의 참여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시민과 운동진영을 연결하는 징검다리, 필요에 따라선 교두보가 돼야 한다.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과 성숙은 또한 <시민사회신문>의 순항과도 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아울러 보다 건강한 신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지역 풀뿌리시민운동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취재·보도가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깊이있는 풀뿌리 시민운동 관련 기획과 보도는 <시민사회신문>의 특화점이 돼야 한다.
새롭게 창간된 <시민사회신문>은 자본과 1인 지배구조에 휘둘리지 않는, 조직과 운영에서 언론기관의 새로운 모범이 되어 주기를 바라며 <시민사회신문>의 젊은 기자들에게 뜨거운 동지애를 보낸다. 시민사회신문 파이팅!
|